■ 간략목차 ■
제1장 수환경 생태계
제2장 수질
제3장 환경위해물질
제4장 상수도 기본계획
제5장 수원 및 취수
제6장 도수 및 송수
제7장 정수[응집/착수정]
제8장 정수[침전/부상]
제9장 정수[여과]
제10장 정수[막 여과/해수담수화]
제11장 정수[활성탄 흡착]
제12장 정수[고도처리]
제13장 정수[소독]
제14장 정수[배수,급수]
제15장 펌프
제16장 물의 순환
제17장 하수도 기본계획
제18장 하수관거
제19장 하수처리
제20장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제21장 물리화학적 하수고도처리
제22장 슬러지 처리
제23장 토양오염복원
제24장 환경정책동향
참고문헌
■ 목차 ■
『제1장 수환경 생태계』
01 생태계의 구성요소
02 물질순환/C,N,S,P 생지화학적 순환
03 생태계 건강성/생태적 온전성
04 수생태계 파괴의 원인 및 대책
05 수저퇴적물의 수생태계 영향
06 생태계 서비스
07 수계 물질교환
08 자정작용/환경용량
09 자정계수
10 환경생태유량 확보방안
11 생물다양성 협약
12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3 수변완충녹지/수변구역제도
14 수변생태벨트조성 사업
15 생태하천복원사업
16 생태네트워크
17 생태축 우선의 원칙/적용대상 시설
18 습지보전의 목적 및 지역의 지정
19 습지보전기본계획에 포함사항
20 습지총량제
21 람사르 협약
22 습지의 기능/오염물질 제거기작
23 인공습지의 종류 및 습지식생
24 인공습지의 설치기준/관리기준
25 호소의 수질정화/형태적 분류
26 자연정화
27 생태면적/공간 유형별 생태면적
28 전과정평가(LCA)
29 생태·물·탄소 발자국/생태적자
30 물발자국/물발자국 산정
31 물 빈곤지수(WPI)
32 PDCA cycle
33 산성비
34 지구온난화
35 오존층 파괴
36 도심열섬현상
37 열오염수/온배수(溫排水)
『제2장 수질』
01 물의 수소결합과 특징
02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03 수질오염경보의 종류별 경보단계
04 BOD 측정의 원리 및 한계점
05 CBOD&NBOD/BODCOD 이유
06 COD측정의 한계점/COD Fraction
07 TOC측정의 의의 및 상호관계
08 유기물 함량지표의 상관관계
09 BOD/COD/TS 관계
10 산화-환원
11 ORP
12 광분해(光分解, Photolysis)
13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14 침식성 유리탄산
15 경도(Hardness)
16 물의 연수화 방법/재탄산염화
17 알칼리도(Alkalinity)
18 산도(Acidity)
19 JTU & NTU
20 SAR
21 치환성나트륨 비율(ESP)
22 수질학 관점에서 pH
23 AGP/AAP
24 생물학적 오탁지표/BI&BIP
25 생물종 다양성지수/SDI
26 퇴적물 산소 소비량/SOD
27 생물농축/먹이사슬/먹이그물
28 병원균의 오염지표 미생물
29 E-coli/대장균의 정성시험
30 MPN(Most Probable Number)
31 FC/FS ratio
32 생물검증/Bioassay Test
33 해역 수질평가지수(WQI)
『제3장 환경위해물질』
01 환경호르몬
02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03 BTEX/MTBE
04 PCBs
05 다이옥신/퓨란
06 Dioxane
07 PAHs
08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09 과불화 화합물(PFCs)
10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
11 TBT(Tri Butyl Tin)
12 TCE & PCE
13 방사능 오염수/자연방사능물질
14 계면활성제/합성세제
15 급성독성/만성독성
16 반수생존한계농도(TLm)/유독성단위
17 생태독성시험(물벼룩류)
18 오염물질의 이동특성
19 확산계수
20 분배계수(물질이동계수)
21 헨리의 법칙(Henry’s law)
22 라울의 법칙(Raoult’s law)
23 이류(Advection)
24 수리전도도/투수계수
25 지연계수
26 전기전도도
27 수계 물질교환
28 해양 미세플라스틱
29 NAPL/비수용성 유체
『제4장 상수도 기본계획』
01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
02 상수도시설의 계획년도
03 계획급수구역 및 인구/급수 보급률
04 계획급수량
05 상수도 수요량 예측방법
06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07 계획급수 인구추정
08 상수도시설의 기본계획/설계절차
09 상수도 기본계획의 수립절차
10 수돗물 수질의 안전성 확보방안
11 수도시설 안정급수확보/비상연계
12 수도정비기본계획에 포함사항
13 수도종합계획에 포함사항
14 상수도시설 개량계획시 유의사항
15 상수도시설의 내진설계/해석법
16 지진에 의한 지반의 액상화
17 단위조작 및 단위공정
18 상수도시설의 처리계통별 제어/계측
19 정수시설의 예비용량/적정가동률
20 간이상수도의 문제점
21 정수시설의 개량/갱신
22 정수시설의 안전대책
23 수질예측 모델링
24 상수도 기술진단
25 상수도관망의 기술진단/시행방법
26 공공환경시설의 기술진단
27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제5장 수원 및 취수』
01 취수시설 기본요건/수원별 취수시설
02 수원의 종류 및 수원별 취수지점
03 지표수의 특성
04 지하수의 특성
05 해수의 침입/해수의 특성
06 하천유량/수문곡선
07 하상계수
08 하천유량
09 하천수의 시료채취
10 Oxygen sag curve
11 저수지에서 수질보전대책
12 저수시설의 유효저수량
13 Ripple’s method
14 지하수의 취수시설
15 지하수 양수시험 방법
16 전기탐사
17 채수층의 결정방법
18 강변여과/복류수 취수방식
19 집수매거
20 해양오염
21 Humus
22 Humic acid & Fulvic acid
23 NOM
24 남조류/제거방법
25 Microcystin-LR/-RR
26 Geosmin
27 2-MIB
28 Water bloom
29 Red tide/황토살포의 문제점
30 방선균
31 조류의 생활환경/수생태계 영향
32 조류가 정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33 포기와 조류번성에 따른 물의 pH
34 성층현상/유광층/폐쇄성수역
35 하천의 자정작용/Wipple의 4지대
36 부영양화/판정지표/TSI
37 해양 유류오염의 영향 및 대책
38 Micro strainer
『제6장 도수 및 송수』
01 도수방식
02 수리특성곡선
03 수리학적 유리한 단면
04 Manning/Hazen-williams/Chezy
05 Bernoulli’s/Torricelli’s의 정리
06 관수로에서 에너지보존의 법칙
07 Darcy/형상 수두손실과 유속
08 Re & Fr
09 에너지경사/동수경사
10 도수 및 송수관의 관경
11 유속의 경험식과 손실수두
12 병렬관수로
13 적수 및 흑수/수처리방법
14 접합정
15 유량계와 수압계
16 감압밸브와 안전밸브
17 차단용 밸브와 제어용 밸브
18 공기밸브
19 배수(Drain)설비
20 신축이음
21 역류방지용 밸브/관로의 부속설비
22 유량측정방법
23 Venturimeter
24 Pito tube
25 수도미터
26 역사이펀/사이펀
27 수관교/교량첨가 관
28 수압시험
29 관 추진공법
30 쉬일드(shield)공법
31 부단수공법
32 강관의 두께/Marston식
33 누수
34 연간허용누수량(UARL)
35 암거의 단면 및 관종
36 개거의 종류
37 관로의 매설위치 및 깊이
38 Cross connection
39 LI(langelier index)
40 수돗물의 부식성
41 관거 부식/전기부식/콘크리트 부식
42 관정부식(crown corrosion)
43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
44 도수관로 내 이물질의 발생원인
45 관거의 내면보호/노후관의 갱생
『제7장 정수[응집/착수정]』
01 Coagulation
02 제타전위(Zeta potential)
03 전기이중층(Electric double layer)
04 전기이중층 압축
05 전기중성도(Electroneutrality)
06 이온층 압축
07 콜로이드의 안정성 파괴
08 계면전기현상 해석
09 콜로이드입자의 전하반전
10 Sweep coagulation
11 등전점(Iso electric point)
12 전기응집에 의한 인, 녹조제거
13 축전식 탈이온공정(CDI)
14 Jar-test
15 응집반응의 영향인자/응집제 특성
16 pH조정제 및 응집제 주입량
17 pH가 응집과 염소소독에 미치는 영향
18 점감식 응집(Tapered flocculation)
19 pH 조정시설
20 혼화시설의 종류
21 속도경사
22 SCD(Streaming Current Detector)
23 혼화·응집공정/공정개선방안
24 용해도적
25 콜로이드용액의 성질/Suspension
26 화학평형과 평형이동
27 완충능/토양의 완충능력
28 금속이온 봉쇄
29 착수정
『제8장 정수[침전/부상]』
01 Stokes law
02 독립침전(I형 침전)
03 침전효율
04 Ⅱ형 침전
05 침전관 분석방법
06 Ⅲ형 침전
07 회분침강곡선 분석방법
08 고형물플럭스 분석방법
09 침전지의 Zone별 개량방법
10 침전지의 장폭비
11 침전효율 증대방안
12 정류설비
13 침전지의 밀도류(Density currents)
14 경사판 침전지/횡류식/상향류식
15 고속응집침전지/Actiflo process
16 Slurry 순환형
17 슬러지 블랑켓형
18 복합형(맥동형)
19 Sludge blanket
20 포기식 침사조
21 소류속도
22 부상분리 & A/S비/용존공기부상
23 마이크로버블(Micro Bubble)
『제9장 정수[여과]』
01 생물여과지/완속여과
02 급속여과의 여과형식/고려사항
03 다층여과
04 직접여과/Micro-floc process
05 내부여과
06 기계식 표면여과기
07 여과지의 시동방수
08 급속여과지의 여과유량조절
09 급속여과의 하부집수장치
10 여과층의 세척방식
11 유효경/균등계수/지정입도가적곡선
12 여과속도 향상방안
13 유효경과 균등계수를 규제하는 이유
14 여과층 두께/여재입경 비
15 급속여과지의 부대시설
16 모래 여과지의 수리(水理)
17 Air binding/Mud ball/탁질누출
18 여과지의 손실수두
19 여과지의 성능평가/UFRV
20 여과지의 탁도관리 목표
21 여과수 탁도계 설치 및 관리
22 크립토스포리디움
23 노로바이러스
24 청색증
『제10장 정수[막 여과/해수담수화]』
01 정수처리 막여과
02 수도용 막의 종류/공정구성
03 막모듈
04 Ultrafiltration(U/F)
05 Reverse osmosis(R/O)
06 Hollow Fiber
07 투석/정삼투
08 전기투석/전기흡착
09 역전기투석/압력지연삼투
10 전량여과/십자흐름여과
11 막여과 조작 매개변수
12 막의 농도분극
13 막의 세척
14 막의 열화/Fouling
15 세라믹 막의 특징
16 막오염지수(MFI & SDI)/기포점검사
17 해수담수화 방법
18 해수담수화의 전처리설비
19 역삼투막의 성능/CA & PA계 막
20 막모듈 염분투과율의 매개변수
21 해수담수화의 역삼투설비
22 해수담수화의 고려사항
23 해수담수화 막투과수의 수질
24 해수담수화의 배출수/농축수
『제11장 정수[활성탄 흡착]』
01 등온흡착
02 Fruendrich/Langmiur
03 BET
04 흡착능
05 EBCT/RSSCT/흡착대/파과곡선
06 생물활성탄(BAC)
07 GAC 특성/PAC & GAC 장단점
08 입상활성탄 규격의 규정이유
09 활성탄의 재생방법
10 입상활성탄의 처리공정 배열
『제12장 정수[고도처리]』
01 정수 고도산화법(AOPs)
02 오존산화/오존설비/제어방식
03 배오존처리
04 펜톤산화
05 Photo-Fenton 산화
06 색도제거
07 수돗물의 이취미 및 맛·냄새 제거
08 철·망간의 제거 및 고려사항
09 적수/흑수
10 수처리제로서 과망간산나트륨
11 불소주입 및 제거
12 비소 제거
13 계면활성제
14 용해성 무기물의 처리방법
15 Ion Exchange Process27
16 포기설비
『제13장 정수[소독]』
01 유리잔류염소/유효염소/유리염소
02 파괴점 염소처리/결합잔류염소
03 전 염소처리
04 후 염소처리
05 CT값(소독능값)/불활성화비
06 Chick의 1차 소독반응속도
07 After growth7
08 탈염소화 방법
09 염소 대체소독제
10 자외선 소독
11 MIOX(mixed oxidant)
12 브롬화염소에 의한 살균
13 THMs 생성 및 제어방법
14 하수처리장 소독설비
15 log제거율과 %제거율의 관계
16 소독방법에 따른 병원균 불화성화비
17 소독부산물(DBPs)/SUVA254
18 소독설비의 제어 및 저장설비
『제14장 정수[배수,급수]』
01 배수지 용량결정/시간변동 조정량
02 배수구역의 블록화/수압관리
03 배수관망 해석
04 배수시설의 개량과 갱신
05 배수관 정비시 고려사항
06 터널배수지/배수지 시설의 운영
07 배수탑과 고가탱크/배수방식
08 배수(配水)관로의 설계 흐름도
09 유수율
10 절수형 급수기구
11 직결급수
『제15장 펌프』
01 펌프의 전양정
02 펌프의 흡입구경
03 흡입수두/NPSH
04 펌프의 흡입관 설치시 고려사항
05 펌프의 동력/펌프장의 계획하수량
06 비회전도()
07 펌프의 상사법칙
08 수주(水柱)분리 현상
09 펌프의 특성곡선
10 펌프 성능시험(체절운전) 방법
11 시스템 수두곡선
12 Cavitation
13 Water hammer/수격작용
14 Surging 현상
15 펌프장의 소음진동 및 침식발생
16 와류(Vortex)방지 대책
17 펌프의 제어방법
18 펌프장 흡입수위/배출수위
19 펌프장 계획시 고려사항/계획하수량
20 상수도용 펌프의 설치대수
『제16장 물의 순환』
01 물의 순환
02 물 순환시스템(Blue-network)
03 Smart water grid
04 물 빈곤지수(WPI)
05 통합물관리(IWRM)
06 하수도시설의 유역별 통합운영관리
07 비점오염저감시설/점오염원 관리
08 저영향개발(LID)
09 물 순환 선도도시조성
10 토지이용계획별 적용 가능한 LID
11 그린빗물인프라(GSI) 및 LID
12 WQv와 WQF
13 우수유출저감/빗물이용시설
14 선행함수조건(AMC)
15 유역의 불투수면 면적(TIA)
16 강우강도
17 지체현상
18 유입시간/유달시간
19 유출계수
20 합리식/첨두 유출량
21 우수관거 계획시 고려사항
22 초기강우의 First flush
23 우수조정지(유수지)
24 우수체수지(우수저류시설)
25 Swirl Requlator(스월조절조)
26 우수배제계획시 고려사항
27 강우 저류시설의 설치기준
28 식생체류지(Bioretention)
29 자연배수시스템(NDS)
30 완충저류시설의 설치 운영기준
31 유역의 불투수율
32 이중배수체계(Dual drainage)
33 Water-Energy-Food Nexus
34 수자원의 유역보전대책
35 수자원의 수계보전대책
『제17장 하수도 기본계획』
01 공공하수도시설의 시운전
02 하수처리장내 연결관거의 계획하수량
03 하수도계획의 기본적 사항
04 강우시 현실적인 계획하수량
05 하수도계획 수립/계획오염부하량
06 오염지하수정화 기본절차(업무지침)
07 하수처리방법 선정/수리계산
08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09 LCC(Life Cycle Cost)
10 하수도 정비사업과 관련 질식재해
11 상하수도분야 BTL과 BTO 사업방식
12 하수처리시설 내 부대시설
13 공공하수처리시설의 계열화운전
14 저류조 유량조정/유출설비
15 다기능 하수 저류시설
16 하수처리수 재이용(중수도)
17 분뇨-음식물폐수 연계처리 고려사항
18 마을하수도의 문제점
19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의 고려사항
20 친환경 주민친화적 하수처리시설
21 스마트 하수도사업
『제18장 하수관거』
01 CSOs
02 SSOs
03 RDII
04 하수관거의 I/I(Inflow/Infiltration)
05 불명수
06 분류식과 합류식 관거
07 우수/오수관거 계획시 고려사항
08 압력관거/자연유하식 이송시스템
09 첨두율(Peaking factor)
10 하수관거의 배치방식
11 하수관거의 접합
12 우수토실
13 맨홀(Manhole)
14 인버트(Invert)
15 물받이/오수받이/빗물받이/집수받이
16 하수관거의 악취방지시설
17 하수도 배수설비/재해시설
18 하수도시설의 목적/하수관거 개보수
19 Marston 공식/관로의 매설깊이
20 하수관 수밀시험
21 공공하수도 기술진단
『제19장 하수처리』
01 미생물의 생장곡선
02 Monod식/반응속도의 영향인자
03 Monod상수()/최대비생장속도
04 내생호흡계수()/생장수율()
05 Autotrophs & Heterotrophs
06 세균의 광합성
07 물질대사(Metabolism)
08 생합성(Biosynthesis)
09 생분해(Biodegradation)
10 생흡착(Biosorption)
11 ATP(adenosin triphosphate)
12 전자공여체(Electron donor)
13 동화작용과 이화작용
14 질산화반응 & 탈질반응
15 인 축적미생물(PAOs)
16 오르토인산/정석 탈인
17 활성슬러지법의 운전인자
18 SRT & MCRT
19 Sludge Index
20 잉여슬러지/제어방법
21 표준활성오니법의 반응조 설계
22 활성슬러지의 이상현상
23 Sludge bulking
24 Pin floc 발생
25 EPS & SMP/미생물의 대사산물
26 하수처리장에서 저부하의 원인/대책
27 수세분뇨 직투입시 고려사항
28 미생물 선택조
29 생물막법(접촉산화법)
30 SBR/ASBR/MSBR
31 살수여상법(Tricking filter)
32 순산소 활성슬러지법
33 심층포기법
34 UASB
35 Step Aeration
36 산화지(Stabilization Pond)
37 Batch reactor
38 CFSTR
39 PFR
40 미생물 반응조의 Mass balance
41 추적자 실험
42 반응속도론
43 반감기
44 표준활성오니공정의 DO/OUR
45 /Two film theory
46 측정방법
47 포기장치의 효율/Off-gas 분석법
48 건설현장 산성배수/터널·광산배수
49 하수처리시설에서 1, 2차 침전지
50 하수처리장 반류수
51 생태독성
52 수질분석을 위한 시료채취방법
『제20장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01 BNR/N·P제거 메커니즘
02 TKN(Total Kjeldahl Nitrogen)
03 단백질/알부미노이드성 질소
04 비질산화율(SNR)/비탈질률(SDNR)
05 질산염환원(Nitrate reduction)
06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07 A2/O & 순환식질산화탈질법
08 One-sludge & Two-sludge공정
09 응집제병용형 생물학적 질소제거법
10 ANAMMOX 탈질공법
11 입상황(S)을 이용하는 무기성 탈질
12 생물학적 탈질여과공정
13 하수고도처리에서 급속여과법
14 PAOs/인 제거효율이 낮은 이유
15 dPAO
16 MBR & Diskfilter(DA)
17 막분리 활성슬러지법(MBR)
18 AnMBR
19 무산소조/호기조의 HRT 및 ASRT
20 기존 활성오니법을 고도처리로 개량
21 탄질률이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22 하수고도처리 도입 이유
『제21장 물리화학적 하수고도처리』
01 전침전/공침/후침전
02 암모니아의 분율 및 전리
03 Ammonia air stripping
04 물리화학적 고도처리
05 질산성질소 제거
06 정석 탈인 및 Al/P mol비
07 스트루바이트(Struvite)
『제22장 슬러지 처리』
01 Solids
02 슬러지 농축
03 슬러지 농축방법에 따른 장단점
04 슬러지 소화(안정화)
05 혐기성 소화조/소화가스 포집
06 혐기성 소화원리/영향인자
07 메탄가스 생산율/세포 생산율
08 BMP Test
09 혐기성 소화조 종류/운전상 문제점
10 호기성소화와 혐기성소화의 장단점
11 산발효와 세정산발효
12 혐기성소화 가스의 에너지화
13 이상혐기성 소화(TPAD)
14 ATAD의 원리 및 장단점
15 슬러지 가용화 방안
16 습식산화/초임계수 산화
17 소화가스의 탈황법
18 슬러지 개량/슬러지 발생량
19 슬러지 탈수기의 특성
20 여과비저항/슬러지 비저항
21 Leaf test
22 Buchner funnel test
23 CST test
24 슬러지의 자원화/에너지화 방안
25 스마트 소화조
26 미생물연료전지(MFC)
27 바이오에너지
28 퇴비화(Composting)
29 지정악취물질/악취방지시설
30 하수슬러지 케익의 고형화
31 슬러지의 토지주입 시 위해성
32 고형물의 열분해성 및 여과성
33 RDF
34 정수장 배출수
『제23장 토양오염복원』
01 식물정화(Phytoremediation)
02 자연정화법
03 생물조작(Biomanipulation)
04 생물학적복원(Bioremediation)
05 토지경작(Landfarming)
06 투수성 반응벽(PRBs)
07 바이오벤팅(BV, bioventing)
08 토양증기추출법(SVE)
09 유기화합물 추출공정(DPE & TPE)
10 동전기 토양정화기술
11 토양세척법(Soil washing)
12 토양미생물체량
13 유효토층(Effective soil layer)
14 지역양분관리제
15 매립지에서 침출수의 수질변화
16 범용토양유실(USLE)
17 토양/지하수오염의 특성
『제24장 환경정책동향』
01 환경정책/환경계획/추진원칙
02 ESSD & ESI
03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TMDL)
04 전략환경영향평가
05 환경영향평가/소규모환경영향평가
06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07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평가항목
08 사후환경영향조사
09 건강영향평가 항목 및 방법
10 환경영향평가등의 협의절차
11 환경영향평가협의회
12 유역단위 용수공급체계 구축
13 환경영향평가 협의기준 및 환경기준
14 상수원보호구역 지정기준
15 특정수질유해물질배출량 조사제도
16 하천구역 안에서 지정되는 보전지구
17 수질오염물질 배출권거래제도
18 지류총량제도
19 스마트 물관리(Smart Water Grid)
20 수질원격감시시스템(TMS)
21 물이용부담금
22 물관리기본법/국가물관리위원회
23 환경책임보험
24 통합환경관리제도
25 최적가용기법(BAT)
26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계약제도
27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
28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정
29 공공하수도 지능화사업
『참고문헌』